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. 특히,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구분할 때 문장의 완전성과 불완전성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 하지만 이 개념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. 이번 글에서는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개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를 구별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우리나라 문법에서 **문장의 완전성과 불완전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'명사 자리가 비어있는가'**입니다. 즉, 주어(S), 목적어(O), 전치사의 목적어가 빠져있으면 불완전한 문장이라고 합니다.
✔ 완전한 문장 예시
✔ 불완전한 문장 예시
💡 즉, 문장에서 주어·목적어·전치사의 목적어가 빠져 있다면 불완전, 그렇지 않으면 완전한 문장이라고 봅니다.
영어에서는 명사가 빠진 불완전한 문장에는 관계대명사, 부사가 빠진 문장에는 관계부사를 사용합니다.
✔ 예문
✔ 예문
✔ 관계대명사 뒤 문장이 불완전하면 관계대명사!
✔ 관계부사 뒤 문장이 완전하면 관계부사!
📌 연습 문제
장소, 시간, 이유,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구는 영어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이를 Adverbial이라고 합니다. 관계부사는 이러한 Adverbial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장이 완전하게 유지됩니다.
그러나 한국어 문법에서는 관계부사가 들어간 문장이 다소 불완전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
이 문장에서 where은 at the place라는 장소 부사구를 대신하지만,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장소 정보가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주어(S)와 동사(V), 목적어(O)가 모두 존재하는 완전한 문장입니다.
💡 즉, 문법적으로는 완전한 문장이지만, Adverbial이 빠지면 의미적으로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.
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개념은 명사(S, O)가 빠진 경우를 의미하며, 이럴 때 관계대명사를 사용합니다. 반면, 장소, 시간, 이유,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빠진 경우에는 관계부사를 사용합니다.
✔ 관계대명사 → 뒤 문장이 불완전
✔ 관계부사 → 뒤 문장이 완전
또한, Adverbial 개념을 이해하면 관계부사가 들어간 문장이 완전한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의미적으로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. 이 개념을 이해하면 영어 문장을 분석할 때 더 쉽게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! 😊
특성화고에서 일반고로 전학하는 방법 (1) | 2025.03.03 |
---|---|
대학 내신 반영 과목 비율 확인 방법 – 예시: 서울대 vs 서울여대 비교 (0) | 2025.03.03 |
2022학년도 10월 고3 모의고사 (2021년 10월 시행) (0) | 2021.11.14 |
2020년 (2021학년도 수능대비) 7월 고3 모의고사 시험지 (0) | 2020.10.26 |
2020년 (2021학년도 수능대비) 10월 고3 모의고사 대비 3개년 시험지 (0) | 2020.10.19 |
댓글 영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