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개념과 관계부사 vs 관계대명사 구분하는 방법

공부자료

by 티난 2025. 3. 3. 18:03

본문

반응형

영어 문법을 공부하다 보면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. 특히,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구분할 때 문장의 완전성과 불완전성이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. 하지만 이 개념이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. 이번 글에서는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개념이 무엇인지 그리고 관계부사와 관계대명사를 구별하는 방법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 


✅ 문장이 불완전하다는 뜻은?

우리나라 문법에서 **문장의 완전성과 불완전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'명사 자리가 비어있는가'**입니다. 즉, 주어(S), 목적어(O), 전치사의 목적어가 빠져있으면 불완전한 문장이라고 합니다.

완전한 문장 예시

  • This is the place where we met my friend. (여기가 우리가 내 친구를 만난 장소다.)
    → 주어(S), 동사(V), 목적어(O)가 모두 존재하므로 완전한 문장
  • I remember the day when she gave me a gift. (나는 그녀가 나에게 선물을 준 날을 기억한다.)
    → 주어(S), 동사(V), 목적어(O)가 모두 존재하므로 완전한 문장

불완전한 문장 예시

  • I met a person who is kind. (나는 친절한 사람을 만났다.)
    → 관계대명사 who 뒤의 문장에서 주어가 없음
    불완전한 문장
  • This is the book that I bought __. (이것이 내가 산 책이다.)
    → 목적어(O)가 빠져 있으므로 불완전한 문장

💡 즉, 문장에서 주어·목적어·전치사의 목적어가 빠져 있다면 불완전, 그렇지 않으면 완전한 문장이라고 봅니다.

 


✅ 관계대명사 vs 관계부사 구분하는 방법

영어에서는 명사가 빠진 불완전한 문장에는 관계대명사, 부사가 빠진 문장에는 관계부사를 사용합니다.

📌 관계대명사 (who, whom, which, that 등)

  • 문장에서 주어, 목적어,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가 빠진 경우 사용
  • 관계대명사 뒤의 문장은 불완전한 문장

예문

  • This is the book that I bought __. (이것이 내가 산 책이다.)
    → 목적어가 빠진 불완전한 문장
    → that (관계대명사) 사용
  • She is the teacher who __ teaches English. (그녀는 영어를 가르치는 선생님이다.)
    → 주어가 빠진 불완전한 문장
    → who (관계대명사) 사용

📌 관계부사 (where, when, why, how)

  • 문장에서 장소, 시간, 이유,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구를 대신할 때 사용
  • 관계부사 뒤의 문장은 완전한 문장

예문

  • This is the restaurant where we ate dinner. (여기가 우리가 저녁을 먹은 식당이다.)
    → 목적어가 없는 것이 아니라 장소 부사구(at the restaurant)가 빠진 것
    → where (관계부사) 사용
  • Do you remember the day when we first met? (네가 우리가 처음 만난 날을 기억하니?)
    시간 부사구(on that day)가 빠진 것
    → when (관계부사) 사용


✅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쉽게 구별하는 방법

관계대명사 뒤 문장이 불완전하면 관계대명사!
관계부사 뒤 문장이 완전하면 관계부사!

📌 연습 문제

  1. This is the school (where / which) I graduated from.
    → which (I graduated from the school에서 명사(the school)만 빠졌으므로 관계대명사)
  2. He is the scientist (who / where) discovered the theory.
    → who ✅ (who discovered the theory → 주어가 빠졌으므로 관계대명사)

 


✅ Adverbial 개념과 주의할 점

장소, 시간, 이유,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구는 영어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이를 Adverbial이라고 합니다. 관계부사는 이러한 Adverbial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문장이 완전하게 유지됩니다.

그러나 한국어 문법에서는 관계부사가 들어간 문장이 다소 불완전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

  • This is the place where we met.

이 문장에서 where은 at the place라는 장소 부사구를 대신하지만,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장소 정보가 부족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주어(S)와 동사(V), 목적어(O)가 모두 존재하는 완전한 문장입니다.

 

💡 즉, 문법적으로는 완전한 문장이지만, Adverbial이 빠지면 의미적으로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합니다.


✅ 결론

문장이 불완전하다는 개념은 명사(S, O)가 빠진 경우를 의미하며, 이럴 때 관계대명사를 사용합니다. 반면, 장소, 시간, 이유,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구가 빠진 경우에는 관계부사를 사용합니다.

 

관계대명사 → 뒤 문장이 불완전
관계부사 → 뒤 문장이 완전

 

또한, Adverbial 개념을 이해하면 관계부사가 들어간 문장이 완전한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의미적으로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. 이 개념을 이해하면 영어 문장을 분석할 때 더 쉽게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! 😊
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